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요즘 직장인 카톡이나 메신저에서
    “이거 상신했어?”
    “상신 보고서 올려주세요!”
    이런 말 많이 들으셨죠?
    하지만 정확한 뜻은 조금 헷갈릴 수 있습니다.

    오늘은 헷갈리는 ‘상신(上申)’의 정확한 뜻과 쓰임새, 그리고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상황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📌 상신(上申)이란?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상신은 한자로 ‘위 상(上)’ + ‘아뢸 신(申)’ 입니다.
    즉, 윗사람에게 아뢰거나 올린다는 뜻이에요.

    기업 조직에서는 보통 보고서, 결재 문서, 제안서 등을 상급자에게 올려 승인이나 지시를 받는 절차를 의미합니다.

    👉 쉽게 말해, 아랫사람이 상사에게 의견이나 내용을 공식적으로 보고하는 것!


    🗂️ 상신이 자주 쓰이는 상황

    ✔️ 1) 보고서 상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프로젝트 진행 현황이나 비용 보고서를 작성해
    팀장님, 부서장님에게 결재받을 때
    “보고서 상신하겠습니다”라고 표현하죠.

    ✔️ 2) 기안서 상신

    새로운 안건을 정식으로 추진하려면
    기안서를 작성해 팀장 → 부장 → 본부장 순으로 결재를 올립니다.
    이 과정을 기안서 상신이라고 해요.

    ✔️ 3) 승진/보직 변경 상신

    인사팀에서는 직원 승진이나 전보(부서 이동) 관련 자료를
    최고책임자에게 보고할 때도 **‘상신’**이라는 표현을 씁니다.


    ✏️ 상신 관련 자주 쓰는 표현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• 상신하다 : 문서를 작성해 위로 올리다.
    • 상신 받다 : 상신된 문서를 검토하고 승인하다.
    • 상신 완료 : 보고서가 결재 라인을 모두 통과함.

    💡 상신과 비슷한 표현은?

   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비슷한 용어가 있습니다.

    용어뜻
    보고 구두나 간략한 내용 전달
    기안 안건 초안을 작성하는 것
    상신 기안서를 결재 라인에 공식적으로 올리는 절차
    결재 상신된 문서를 상사가 승인하는 것
     

    👉 정리하자면, 기안 → 상신 → 결재 → 시행 흐름으로 보시면 됩니다!


    🗝️ 직장인이 알아두면 좋은 팁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✅ 상신할 때는 명확하고 깔끔한 문서 작성이 가장 중요합니다.

    ✅ 결재선이 복잡할 경우, 중간 중간 커뮤니케이션으로 진행 상황을 공유하면
    결재가 지연되는 걸 막을 수 있어요.

    ✅ 이메일이나 전자결재 시스템 제목에 ‘상신’ 표시를 붙이면 상급자도 파악하기 쉽습니다.
    예) [상신] 2025년 마케팅 예산안


    📌 상신 뜻, 이렇게 정리해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• 한자: 上(위) + 申(아뢰다)
    • : 상사에게 보고하거나 허락을 받기 위해 올리는 공식 절차
    • 활용: 보고서 상신, 기안서 상신, 인사 상신 등

    ✅ 한줄 요약

    상신은 아랫사람이 상사에게 문서를 공식적으로 올려 승인받는 절차를 뜻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